고려시대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의 충남지역은 신라 말기에 이르러 견훤과 궁예에 의해 분할점령되다가 왕건에 의한 통일 이후 고려의 영역에 들어가게 되었다.
현재의 대전지역은 고려 때 공주목(公州牧), 회덕군(懷德郡), 진잠현(鎭岑懸), 유성현(儒城懸), 덕진현(德津懸)의 옛 땅이었다.
유성현은 고유성(古儒城)이라 부르는 월평동 산성(月坪洞 山城) 아래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혹은 상대동 산성 아래라고 하는 주장도 있다.) 백제 때 노사지현, 신라 경덕왕 때 유성현이라 하고 비풍군의 영속으로 되었다. 고려 때는 처음부터 유성현으로 내려오다가 공주목에 속하게 되었다. 진잠현은 현재의 유성구 원내동이 고려 때 진잠현의 자리이다. 덕진현은 유성구 덕진동이 그 유지(遺地)이다.
고려 때의 회덕군, 유성현, 진잠현, 덕진현의 영역은 행정상 공주목에 속하면서 현재의 대전광역시 영역과 거의 일치하였다. 그리고 이들 현의 읍치(邑治)는 모두 현재 대전시의 외곽지대에 위치해 있었으므로 대전 개척의 축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