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의 역사문화

지명유래

유성의 지명유래

  • 1 진잠동(鎭岑洞)
  • 2 성북동(城北洞)
  • 3 세동(細洞)
  • 4 송정동(松亭洞)
  • 5 방동(芳洞)
  • 6 원내동(元內洞)
  • 7 교촌동(校村洞)
  • 8 대정동(大井洞)
  • 9 용계동(龍溪洞)
  • 10 학하동(鶴下洞)
  • 11 계산동(鷄山洞)
  • 12 온천동(溫泉洞)
  • 13 봉명동(鳳鳴洞)
  • 14 구암동(九岩洞)
  • 15 덕명동(德明洞)
  • 16 원신흥동(元新興洞)
  • 17 상대동(上垈洞)
  • 18 복룡동(伏龍洞)
  • 19 장대동(場垈洞)
  • 20 궁동(弓洞)
  • 21 어은동(魚隱洞)
  • 22 구성동(九城洞)
  • 23 갑동(甲洞)
  • 24 죽동(竹洞)
  • 25 노은동(老隱洞)
  • 26 지족동(智足洞)
  • 27 반석동(盤石洞)
  • 28 수남동(水南洞)
  • 29 안산동(案山洞)
  • 30 외삼동(外三洞)
  • 31 신성동(新城洞)
  • 32 가정동(柯亭洞)
  • 33 도룡동(道龍洞)
  • 34 장동(長洞)
  • 35 방현동(坊峴洞)
  • 36 화암동(花岩洞)
  • 37 덕진동(德津洞)
  • 38 하기동(下基洞)
  • 39 추목동(秋木洞)
  • 40 자운동(自雲洞)
  • 41 신봉동(新峰洞)
  • 42 전민동(田民洞)
  • 43 문지동(文旨洞)
  • 44 원촌동(院村洞)
  • 45 구즉동(九則洞)
  • 46 봉산동(鳳山洞)
  • 47 탑립동(塔立洞)
  • 48 용산동(龍山洞)
  • 49 관평동(官坪洞)
  • 50 송강동(松江洞)
  • 51 금고동(今古洞)
  • 52 대동(垈洞)
  • 53 금탄동(金灘洞)
  • 54 신동(新洞)
  • 55 둔곡동(屯谷洞)
  • 56 구룡동(九龍洞)
  • 구룡동(九龍洞)
    구룡동은 동쪽으로 봉산동과 송강동, 남쪽으로는 덕진동, 추목동과 이웃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세종시 금남면과 북쪽으로는 둔곡동과 이웃하고 있다. 지형이 마치 구렁이 같다고 하여 붙여진 구룡동에는 구렁이, 청운동, 아랫들, 다리골, 사시미, 별락정, 등굴, 점골 등의 마을이 있다.
    구렁이는 청운동 동북쪽에 자리한 마을로, 구룡(九龍)이라고도 부른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옛날 햇빛이 쨍쨍한 한낮에 갑자기 빗줄기가 억수같이 쏟아지더니 수면으로 뻗어가기 시작하고 그 뻗어가는 빗줄기가 조그마한 연못에 머물렀다. 연못에 머문 물줄기가 이번에는 아홉 가닥으로 나눠지면서 그 연못에서 물줄기가 하늘로 이어지고는, 그 물줄기를 따라 구렁이(이무기)가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그 연못은 용방(龍坊)이어서 이 근처에서 100여 년 간 수도하던 구렁이가 연못을 통해 아홉 마리의 용으로 승천한 연못이 자리한 마을이라 구렁이, 구룡이라 부른다고 한다.
    청운동(靑雲洞)은 별락정 서남쪽으로 산을 넘어 있는 마을인데 남쪽으로 대곡티와 접한 그 북쪽에 자리해 있으며, 구룡소류지라는 작은 저수지가 가까이 있다. 동쪽과 서쪽, 남쪽으로 산이 둘러 있는 마을이다. 이곳 사람들은 처음 푸른 꿈을 품고 이곳에 들어와 안락지대(安樂地帶)에 살았다 하여 청운동리라 부른다고 한다. 도참설에 따르면 이곳은 청운(靑雲), 백운(白雲), 자운(紫雲)의 세 곳 사이에 가히 만인이 살만한 가활만인(可活萬人)의 땅이라는 것이다. 그것을 증명하듯 한국전쟁 당시에도 공산군을 모르고 살았다는 마을이 이곳이다.
    아랫들은 청운동 북쪽 들판에 있는 마을로 하평(下坪)이라고도 부른다. 청운동 아래 들판 가운데 마을이 있어 그렇게 불렀고, 다리골은 청운동 북쪽에 자리한 마을로 월곡(月谷)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밤이 되어 달이 뜨면 여기에 달이 제일 먼저 비친다고 해서 월곡이라 불렀고, 마을에 다리가 있어 다리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사시미는 다리골 서쪽, 별락정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지형이 사슴을 닮아서 사슴이라 부르다가 지금은 사시미로 부르고 있다.
    별락정(別樂亭)은 다리골 서남쪽에 자리한 마을인데 이곳에는 지형이 자라(鼈)라 물을 마시는 형국이라 명당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이와는 달리 옛날 이곳에는 벼슬길에 나갈 것을 단념한 선비들이 별락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유유자적하던 마을이라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등굴은 청운동 북쪽에 자리한 마을로 등골이라고도 부른다. 깊은 산골에 자리 잡은 마을인데 이 마을에는 등을 건 형국인 괘등형(掛燈形)의 명당이 있다고 해서 등골이라 부르며, 점골은 별락정 동북쪽에 자리한 마을로, 봉산동에서 구룡고개를 넘어가면서 첫 번째 마을이다. 고개 아래 마을이 있다고 해서 점이, 저미라고 부르다가 점골이라 부른다.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이 전개될 때 황소마을이라 불렀던 곳이다.